**Shipping from Korea. It takes 10 to 21 business days. Please do not select additional shipping options. Delivery is not possible within the period. When you purchase a shipping option, the option is automatically refunded and shipped in normal shipping.**
70년대 암울했던 우리 사회의 현실을 우화적 기법으로 형상화해낸 걸작.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 시기에 도시 개발로 인해 살곳을 잃게 된 도시 빈민층의 아픔을 이야기함.
도시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이 겪는 삶의 고통과 좌절. 난쟁이 가족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약자의 삶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(물질 만능주의)을 고발, 비판함.
1970년대 도시에 있는 판자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. 그 당시에는 도시를 재개발한다는 명목으로 판잣집들을 철거하는 일이 많았다. 판잣집은 판자로 허술하게 지은 집으로, 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던 곳이다.
그래서 판잣집을 철거한다는 것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절망적인 일이었다. 살던 집을 빼앗기게 된 주인공 가족의 마음을 이해하며 이 소설을 읽어 보자.
وصف
‘나'(영수)의 가족은 무허가 판자촌인 낙원구 행복동에서 살고 있다. 어느 날, ‘나'는 우리 집이 재개발 사업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니 집을 철거하라는 계고장을 받는다. 아파트에 입주할 능력이 안 되는 우리 가족은 다른 이웃들처럼 행복동을 떠나는데, 아버지와 동생 영희는 입주권을 팔고 이사 가기 전날 사라진다. 영희는 입주권을 산 남자를 따라갔다가 돈과 입주권을 훔쳐 도망쳐 나온다. 동사무소에서 입주 신청을 한 영희는 예전 집으로 돌아오지만 가족은 이미 다른 데로 이사가 버린 뒤다. 영희는 동네 아주머니로부터 아버지가 그동안 일하던 공장 굴뚝에 올라갔다가 죽었다는 소식을 전해 듣는다.